-
MERN 기본파일 만들기 - 2) GIT설치하고 연결, SSH 파일 생성하고 등록하기NODE.JS 2021. 5. 10. 21:16
깃은 분산 버전관리 시스템이다.
맨처음에 할 것은 node_module파일들은
버전에 따라서 내부 내용이 매번 업데이트 될 수 있기 때문에 git에 올라가지 않도록
gitignore를 설정해주는 것이다.
gitignore파일을 생성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입력해준다.
git init을 해서 저장소를 생성한 후,
git status를 해서 확인해보면 아직 add 되지 않은 파일들이 보일 것이다.
working directory안의 파일들을 staging area로 보내기 위해선 add 해주면 된다.
다음 commit 해주면 repository에 올라가고 push해주면 원격저장소에 올라가게 된다.
일단 commit을 해서 변경내용을 저장해주자.
ssh는 오가는 데이터를 모두 암호화 하는데,
여기서 공개키를 github에 입력하게된다면,
(공개키: 외부에서 나에게 메세지를 보낼때 사용하는 암호화 키,
개인키: 외부에서 나에게 보낸 메세지를 복호화 할 때 사용하는 키)
매번 push 할때마다 내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이
바로 보낼 수 있게 된다.
git repository를 생성해주고 나서
이제 ssh키를 만들어보자.
ssh키생성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서 참고할 수 있다.
터미널에서 ls -a ~/.ssh를 검색했을 때,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면 ssh키가 없는 것이다.
$ ssh-keygen -t ed25519 -C "your_email@example.com" 여기서 이메일은 자신의 이메일을 입력해준다.
(여기서 이메일은 ssh key와 연결될 것이다.
이후 키 만들 폴더에서 엔터입력후
> Enter passphrase (empty for no passphrase): [Type a passphrase]
> Enter same passphrase again: [Type passphrase again]
이 구문에서 자신이 사용할 ssh key 패스워드를 생성하면된다.
그 이후에 ls -a ~/.ssh를 다시 검색해보면 id_~~~의 값이 생성되어있음을 확인 가능하다.
이후에는 생성된 key를 ssh-agent에 등록해주어야한다.
ssh-agent를 시작한다.
$ eval "$(ssh-agent -s)"
> Agent pid 59566
그대로 복사해서 입력한다.
$ ssh-add -K ~/.ssh/id_ed25519
agent에 등록해준다.
완료된다면 identify~~ + 자신의 이메일 의 구문이 나오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키를 이제 git hub에 넣어준다. (공개키)
$ pbcopy < ~/.ssh/id_ed25519.pub 를 입력해준다. (여기서 pub은 공개키라는 의미)
이 공개키를 복사해서 github설정에서 등록해주면 된다.
github -> settings-> ssh and gpg keys에 들어가서
new ssh key 항목에 key 부분의 자신의 ssh-key.pub을 넣고
등록을 완료해주면 성공!
이제 깃 repository에 연결하려면
깃 레포지토리 설명을 보고 연결해주고 push해주면 된다.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RN 기본파일 만들기 - 4)회원의 비밀번호 hash코드로 숨기기(bcrypt) (0) 2021.05.13 MERN 기본파일 만들기 - 3)nodemon 설치하고 private정보 숨기기 (0) 2021.05.13 MERN 기본파일 만들기 - 1) node, express 실행하고 mongodb연결하기, BodyParser & Postman 이용해서 register생성 (0) 2021.05.10 Youtube 만들기) 1.BoilerPlate설치하고 MongoDB 연결하기 (0) 2021.04.28 MovieApp 만들기) 5.Favorite 페이지 만들기 (0) 2021.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