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진단
-
walkerholic(Springboot + React) 프로젝트 ② 서버 진단(+부하테스트)하고 목표정하기학습로그 2022. 6. 3. 05:06
이제 배포된 서버를 진단하고 목표를 정하도록 하자. 서버 진단하기 서버진단은 다음의 사이트에서 진행할 수 있다. https://www.webpagetest.org/ WebPageTest View this on WebPageTest.org... www.webpagetest.org https://pagespeed.web.dev/?utm_source=psi&utm_medium=redirect PageSpeed Insights 올바른 URL을 입력하세요. pagespeed.web.dev WebPageTest의 요약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두 사이트에서 진행한 나의 배포 사이트와 경쟁 사이트의 테스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walkerholic(내 프로젝트)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쇼핑 티스토리 성능 76 67 8..
-
서버 진단하기 ( + 로깅, 모니터링)네트워크 & 인프라 2022. 4. 14. 12:41
이번엔 서버를 진단하는 방법을 공부하였다. 서비스의 상태 진단 서버는 크게 CPU, Network Interface Card(NIC), RAM, Disk Drives 4가지로 구성되어있는데 각 자원들은 여유 또는 포화 상태를 가지게 된다. 획득할 수 있는 상태정보는 다음과 같다. 요약 : 단위시간 정보의 합계나 평균을 보여줌 (대략정인 상태만 파악) -> sar, vmstat 이벤트 기록 : 순차적으로 이벤트 기록 -> 패킷, 시스템콜 스냅샷 : 순간의 상태를 기록 (문제 발생 시 원인 조사에 사용됨) -> top 이벤트 기록은 장애상황에서 사용하기에 데이터가 방대하기때문에 문제상황 재현시에 사용된다. 즉 문제 발생시 로그, 요약 정보의 일정 수치등에 알람을 설정해두고 스냅샷을 통해 원인을 파악 하도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