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
백준 3190) 뱀 (골드.4)알고리즘/백준 2022. 7. 13. 23:10
https://www.acmicpc.net/problem/3190 3190번: 뱀 'Dummy' 라는 도스게임이 있다. 이 게임에는 뱀이 나와서 기어다니는데, 사과를 먹으면 뱀 길이가 늘어난다. 뱀이 이리저리 기어다니다가 벽 또는 자기자신의 몸과 부딪히면 게임이 끝난다. 게임 www.acmicpc.net 시뮬레이션 문제로 조건에 따라 이동시키는 문제이다. 조건을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1) 뱀은 0, 0 위치에서 시작하여 처음엔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2) 방향조건이 D일 경우 오른쪽, L일 경우 왼쪽으로 이동한다. 3) 시간조건은 처음 이동을 시작할 때부터 방향을 바꿀때 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4) 이동할 칸에 사과가 있으면 뱀의 꼬리는 줄어들지 않는다. 5) 이동할 칸에 사과가 없으면 뱀의 꼬리는 한..
-
백준 14499) 주사위 굴리기 (골드.4)알고리즘/백준 2022. 7. 13. 22:56
https://www.acmicpc.net/problem/14499 14499번: 주사위 굴리기 첫째 줄에 지도의 세로 크기 N, 가로 크기 M (1 ≤ N, M ≤ 20),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 x, y(0 ≤ x ≤ N-1, 0 ≤ y ≤ M-1), 그리고 명령의 개수 K (1 ≤ K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 www.acmicpc.net 단순 구현의 문제라고 생각하고 문제에 주어진 주사위 모양을 참고하여 구현하였다. 조건을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1) 이동 방향이 동서북남 2) 지도상 좌표의 숫자가 0일 경우 이동한 주사위의 밑면의 숫자를 복사할 것 3) 지도상 좌표의 숫자가 0이 아닐 경우 주사위 밑면에 지도상의 숫자를 복사하고 지도상 좌표의 수는 0으로 만들 것..
-
알고스팟 : 울타리 잘라내기 (분할정복)알고리즘 2022. 7. 4. 22:37
처음부터 모두 조회하면서 사각형 넓이를 계산하는 완전탐색 실행시 시간초과가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왼쪽과 오른쪽 부분을 나눠서 진행하는데 (분할 정렬처럼) 왼쪽부분에서 가장 큰 사각형과 오른쪽부분에서 가장 큰 사각형 넓이, 가운데에서 가운데 두개의 영역(넓이2 * 둘중에 낮은 높이), 가운데영역을 포함하여 양쪽으로 넓어지면서 계산한 사각형 중에 가장 큰 사각형을 비교하여 가장 큰 넓이를 반환해주여야 한다. c = int(input()) def max_sqare(left, right, fence): # 기저 사레 : 같은 값이면 가로 1 * 높이가 최대 직사각형 if left == right : return fence[left] # 가운데를 중심으로 나아간다 mid = (left ..
-
알고스팟 : 쿼드 트리 뒤집기 (분할정복)알고리즘 2022. 7. 4. 22:33
이미 압축되어 출력된 부분을 다시 원래 모양대로 풀고 나서 뒤집고 다시 압축하려고 하면 초과가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미 압축되어있는 버전에서 부분 별로 위와 아래만 바꿔주도록 적용해야 한다. c = int(input()) def reverse(s, idx): if s[idx] == 'w' or s[idx] =='b' : return s[idx] # x로 시작한다는 의미이므로 한칸 앞으로 idx +=1 upperLeft = reverse(s, idx) idx += len(upperLeft) upperRight = reverse(s, idx) idx += len(upperRight) lowerLeft = reverse(s, idx) idx += len(lowerLeft) lowerRight = reverse..
-
알고스팟 : 게임판 덮기 (완전탐색, 경우의 수)알고리즘 2022. 7. 3. 16:22
이 문제는 경우의 수를 모두 구하는 문제로 완전탐색을 이용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중복되는 경우의 수를 제외하기 위해서 맨 위쪽 부터 탐색하여 채워지지 않은 부분을 찾아내는 것이다. 제일 먼저 coverType을 만드는데 [dy][dx]타입으로 세 점을 작성하였으며 나중에 적용할 때는 행, 열의 순서에 맞춰 board[y + dy][x + dx]를 적용해야 하는 점에 유의하자. c = int(input()) coverType = [ [[0,0], [0,1], [1, 0]], [[0,0], [0, 1], [1, 1]], [[0,0], [1, 0], [1,1]], [[0,0], [1,0], [1,-1]] ] def isCoverable(x, y, type, board): for dy, dx in type:..
-
알고리즘 -3) DFS/ BFS알고리즘 2021. 5. 5. 19:34
1. DFS(stack사용) function dfs (graph, startNode){ let visited = []; let stack = [start]; while(stack.length!==0){ let n = stack.pop(); if (!visited.includes(n)){ visited.push(n); let sub = graph[n].filter(x=>!visited.includes(x)) for (let i of sub){ stack.push(i); } } } return visited; } 2. BFS(queue사용) function bfs (graph, startNode){ let queue = []; let visited = []; queue.push(startNode); whil..
-
이것이 코딩테스트다 - 10) 그래프알고리즘 2021. 1. 27. 22:02
8,9,10 단원은 백준, 프로그래머스 달린다고 생각하고 복습 제대로 해야한다. 엉망진창 와진창이다. 10.1) 팀 결성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define INF 1e9 using namespace std; int n, m; int parent[100000]; int find_parent(int parent[100000], int x) { if (parent[x] != x) { parent[x] = find_parent(parent, parent[x]); } return parent[x]; } void union_parent(int parent[100000], int a, int b) { a = find_parent(parent, a); b = find_p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