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간 개발로그 - 2022년 10월학습로그 2022. 11. 2. 17:50
📝 10월 1주차
- gRPC + 자바 프로젝트 구성하기
https://dodop-blog.tistory.com/396
gRPC ② gRPC + 자바 프로젝트 구성해보기
이번엔 gRPC를 이용한 자바 프로젝트를 예시로 gRPC를 이해해보자. 참고한 글 https://jeong-pro.tistory.com/192 gRPC 사용법, gRPC 예제 코드 실행해보기, 원리는 몰라도 gRPC 입문은 가능하다 (grpc java example)
dodop-blog.tistory.com
- gRPC + 코틀린 +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구성하기
https://dodop-blog.tistory.com/397
gRPC ③ gRPC +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구성해보기
이번엔 gRPC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이용하여 client 모듈과 gRPC 서버 모듈로 분리하여 서로 통신하는 것을 확인해보자. 참고한 글 https://medium.com/jongho-developer/spring-boot-grpc-
dodop-blog.tistory.com
- 쿠버네티스 메인 컴포넌트
https://dodop-blog.tistory.com/398
쿠버네티스 ① 메인 K8s component (1)
인프라 내용을 학습할 때 항상 나오는 쿠버네티스...! 간단하게나마 알면 도움이 될 것같아 영상을 보고 학습하였다. 💪 학습 내용의 출처는 모두 아래 두영상이다! 🙌 참고한 영상 👇🏼 https:/
dodop-blog.tistory.com
📝 10월 2주차
- 쿠버네티스 학습
https://dodop-blog.tistory.com/402
쿠버네티스 ② 메인 K8s component (2)
지난 글에 이어서 메인 컴포넌트들을 학습하자. 참고한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X48VuDVv0do https://www.youtube.com/watch?v=6n5obRKsCRQ&list=PLApuRlvrZKohaBHvXAOhUD-RxD0uQ3z0c 모든 내용은 윗 영상을 캡쳐
dodop-blog.tistory.com
https://dodop-blog.tistory.com/399
쿠버네티스 ③ 기본 Architecture
이번에는 쿠버네티스의 기본 아키텍처에 대해 배워보자. 참고한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X48VuDVv0do https://www.youtube.com/watch?v=6n5obRKsCRQ&list=PLApuRlvrZKohaBHvXAOhUD-RxD0uQ3z0c 모든 내용은 윗 영
dodop-blog.tistory.com
https://dodop-blog.tistory.com/400
쿠버네티스 ④ Minikube 와 Kubectl, K8s YAML configuration File
이번에는 minikube, kubectl, 쿠버네티스에서 YAML 설정 파일에 대해 알아보자. 참고한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X48VuDVv0do https://www.youtube.com/watch?v=6n5obRKsCRQ&list=PLApuRlvrZKohaBHvXAOhUD-RxD0uQ3z0c 모
dodop-blog.tistory.com
https://dodop-blog.tistory.com/401
쿠버네티스 ⑤ Namespace 와 Helm
이번에는 쿠버네티스의 네임스페이스와 Helm에 대해서 알아보자. 참고한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X48VuDVv0do https://www.youtube.com/watch?v=6n5obRKsCRQ&list=PLApuRlvrZKohaBHvXAOhUD-RxD0uQ3z0c 모든 내용은
dodop-blog.tistory.com
📝 10월 3주차
- 코틀린 기초 문법 추가 정리
https://dodop-blog.tistory.com/403
코틀린 기초 문법 ④ ( + DSL 학습중 ⌛️)
참고한 강의와 책은 이전 블로그 글에 올려두었다. https://dodop-blog.tistory.com/391 코틀린 기초 문법 ① 요즘 코드가 Java -> Kotlin으로 넘어가고 있고, 사용이 많고 동기 분들을 보니 모두 코틀린 공부
dodop-blog.tistory.com
- 코프링 프로젝트 + 구글 시트 연동 슬랙봇 만들기
https://dodop-blog.tistory.com/404
코프링(코틀린 + 스프링부트) + 구글 스프레드 시트로 슬랙봇 만들기 - ① 슬랙앱 생성 및 사용 설
이번에는 코틀린을 공부하면서 코틀린과 함께 스프링부트를 이용한 슬랙봇을 만들어 보았다. 아이디어는 동기분이 점심봇을 얘기해주셨고, 이를 이용해서 공부하면 좋을 것 같아 슬랙봇이 메
dodop-blog.tistory.com
https://dodop-blog.tistory.com/405
코프링(코틀린 + 스프링부트) + 구글 스프레드 시트로 슬랙봇 만들기 - ② 슬랙으로 요청받기
이번엔 슬랙으로 들어오는 요청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간단한 실행 구조 확인하기 간단하게 요청을 받고 메세지를 보내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 간단하게 메세지 보내보기 val client = Sla
dodop-blog.tistory.com
https://dodop-blog.tistory.com/406
코프링(코틀린 + 스프링부트) + 구글 스프레드 시트로 슬랙봇 만들기 - ③ 슬랙으로 메세지, view
이번에는 슬랙앱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메세지, view를 보내는 방법을 확인하자. 참고한 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 api 공식 문서 확인하기 → https://api.slack.com/methods Web API methods | Slack api.slack.com cha
dodop-blog.tistory.com
https://dodop-blog.tistory.com/407
코프링(코틀린 + 스프링부트) + 구글 스프레드 시트로 슬랙봇 만들기 - ④ 구글 스프레드 시트 사
이제 구글 스프레드 시트를 데이터베이스로 사용하기 위해서 프로젝트와 연동하자. 👍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8yJrQk9ShPg 사이트 → https://joanne.tistory.com/m/45?category=975630 Interact with Google S
dodop-blog.tistory.com
📝 10월 4주차
- 아파치 카프카
https://dodop-blog.tistory.com/409
아파치 카프카
EDA를 배우면서 카프카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유튜브를 찾아보니 다음의 플레이리스트 강의가 있어서 아주 간단하게 기본 개념만이라도 학습해보았다! 정리한 자료 및 사진은 모두 영상의 내용
dodop-blog.tistory.com
- ELK 스택
https://dodop-blog.tistory.com/410
ELK스택 기본사용법 - ① ElasticSearch
ELK (Elastic search, Logstash, Kibana) 스택에 대해서 들어보기는 했지만 어떻게 동작하는지 몰라서 간단한 강의를 듣고 실습해 보았다! 학습한 내용과 사진, 코드는 모두 다음의 강의에서 참고하였다!
dodop-blog.tistory.com
https://dodop-blog.tistory.com/411
ELK스택 기본사용법 - ② Kibana
저번 시간에 이어 이번에는 ELK 스택의 Kibana를 활용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았다. 학습한 내용과 사진, 코드는 모두 다음의 강의에서 참고하였다!🙌 참고한 강의 (플레이리스트) ↓ https://www.youtube.
dodop-blog.tistory.com
https://dodop-blog.tistory.com/412
ELK스택 기본사용법 - ③ Logstash + 실제 데이터 활용해보기
저번 시간에 이어 이번에는 ELK 스택의 Logstash 활용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았다. 학습한 내용과 사진, 코드는 모두 다음의 강의에서 참고하였다!🙌 참고한 강의 (플레이리스트) ↓ https://www.youtube.c
dodop-blog.tistory.com
🌱 2022년 10월 학습 후기
10월에는 지난 9월의 공부목표였던 gRPC, 쿠버네티스, 코프링(코틀린 + 스프링부트) 프로젝트에 아파치 카프카, ELK 스택을 추가로 더 공부할 수 있었다. 사실 9월의 공부 목표는 추상적으로 내가 당시 학습해서 모르는 부분중에 가장 우선시하면 좋겠다고 생각한 부분을 임의로 추린 것이고 해야 할 리스트가 더 많기는 했다. 🥹 입사 이후로 모르는게 많았기 때문에 개발에 집중하는 것보다 수업을 듣거나 정리하는 것 위주로 진행을 해서 노트북보고 정리만 하는게 지루할 때가 많았는데 혼자 코프링 프로젝트를 이용해서 슬랙봇을 만들면서 이런 저런 오류 만나고 왜 안되는지 고민하고 코드도 직접 쳐보고 하니까 이 부분은 재밌게 학습할 수 있었다...! 🤭 (물론 완벽하진 않지만!) ElasticSearch의 경우에는 'Inverted-Index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하여 %Like 검색시 유리하다' 정도로만 알고 있었기에 어떻게 ELK 스택이 사용되는지 알고 싶어 학습을 하였는데 Kibana를 통해서 데이터 들어오는 것을 보니 이 부분도 나름 재밌게 진행할 수 있었다.
지난 한달 간 회사 적응기도 살짝 적어보자면, 우연히 사내 회식(?)에 참여할 기회가 많이 생겨서 회사 끝나고 모임을 세번이나 갈 수 있었다! 👏 그 덕분에 거의 모든날을 재택근무 중인데도 회사가면 나를 아시는 분들이 계신다...!
11월에는 아마 팀 배정 받기전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지 않을까하고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다. 우선 11월에 공부하고자 하는 부분은 ArgoCD, Github Action, DynamoDB 부분을 생각하고 있는데, 지난 코틀린 프로젝트 하면서 했었던 코틀린에서 인수테스트 방법, ELK 스택의 filebeat, curator, s3 부분을 정리하고 있어서 이 부분에 대한 블로그 글도 작성하고 싶다. 회사가면 슬쩍슬쩍 뭐하고 계신지 보기도 하고 사내 강의를 들으면서 모르는 부분은 자세히 보려고 생각중이다. 🧐
+ 지난달 목표를 보니 근무 시간 외 공부시간을 차근히 늘려간다고 했는데, 이 부분은 ... ^^; 슬랙봇 만들 때 재밌어서 추가로 좀 더 보기는 했지만 강의듣는 시간은 🤦🏻♀️ 이 부분도 11월 목표로 추가...🥹
아무튼 11월은 프로젝트 들어가게 된다면 그 전까지 준비가 잘되어서 피해 안주고 잘했으면 좋겠고 🥹 화이팅이다!
'학습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 로그 - 2023년 하반기 회고 + 개발자 1년차 회고 (0) 2024.02.03 개발 로그 - 2023년 상반기 (0) 2023.07.02 월간 개발로그 - 2022년 9월 (1) 2022.10.03 월간 멘토링 - 마무리 ( + 새로운 시작 📍) (3) 2022.09.23 테스트 코드 리팩토링 (Feat. 단위테스트, 최적화, 인수테스트 구현하기) (0) 2022.06.10 - gRPC + 자바 프로젝트 구성하기